• 1. 인력 기준

    1) 전속 영상의학과전문의 1인 이상
    2) 전속 방사선사 1인 이상

  • 2. 시설 기준

    200병상 이상.
    다만, 200병상에 미달하는 의료기관이 다른 의료기관과 공동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지 제2호서식의 특수의료장비공동활용동의서를 제출한 의료기관과의 병상합계가 200병상 이상이어야 한다.

  • 3. 정도관리기록 기준

    아래의 각 항목들은 제시한 점검주기에 따라 기록 보존되어 있어야 합니다.
    서식(서식은 자료실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1.필름
    1) 테이블 이동 점검(매일)
    2) 하드카피장치의 작동 점검(매일)
    3) 항온항습기 작동 점검(매일)
    4) 데이터 저장장치 작동 점검(매일)
    5) 현상기 성능 관리(매일)
    6) 환자 모니터 시스템 관리(매일)
    7) 판독실의 조명·환기·온도·소음 점검(매주)
    8) 응급환자 구조용 시스템 점검(매주)
    9) 중심주파수 점검(매월)
    10) 트랜스미터 획득 및 감쇄(매월)
    11) 위치확인영상(scout localization view)의 정확도 점검(매월)
    12) 영상에서의 측정치와 실측정치의 비교평가(매월)
    13) 인공물 점검항목(매월)
    14) 임상영상평가(3개월)
    15) 판독대와 판독실의 조도 측정(1년)

    2.PACS
    1) 테이블 이동 점검(매일)
    2) 항온항습기 작동 점검(매일)
    3) 데이터 저장장치 작동 점검(매일)
    4) 환자 모니터 시스템 관리(매일)
    5) 판독실의 조명·환기·온도·소음 점검(매주)
    6) 응급환자 구조용 시스템 점검(매주)
    7) 중심주파수 점검(매월)
    8) 트랜스미터 획득 및 감쇄(매월)
    9) 위치확인영상(scout localization view)의 정확도 점검(매월)
    10) 영상에서의 측정치와 실측정치의 비교평가(매월)
    11) 인공물 점검항목(매월)
    12) 임상영상평가(3개월)
    13) 판독용 모니터 관리(3개월)
    14) 판독실의 조도 측정(1년)

    * 매월주기 미만의 항목은 서류검사 시 정도관리기록대장사본을 제출하지 않으며, 정밀검사 시 정도관리기록대장 원본과 시험검사물로 시행여부를 확인한다.

  • 4. 팬텀영상검사 기준

    아래의 각 항목들은 제시한 점검주기에 따라 기록 보존되어 있어야 합니다.
    서식(서식은 자료실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표준팬텀 ACR-PH1 MRI Phantom 및 이와 동등함이 검증된 팬텀
    팬텀촬영조건 표준 스핀 에코 T1 및 T2 강조영상, 25cm scan FOV,(대조도 분해능의 경우 자체 두부 T1-, T2- 강조영상으로 대체 가능) 11 number of slices, 5mm slice thickness and 5 mm slice gap, 1 NEX, 256x256 matrix
    제출영상 팬텀 촬영 영상 1부(영상에는 장비고유번호와 촬영날짜 표시)

    - 합격기준

    항목 합격기준
    기하학적 정확도 (T1) 시상 위치확인영상(sagittal localizationview) 상하길이 146~150mm 이어야 한다.
    T1 #5 절편 상하, 좌우, 대각선 길이가 188~192mm 이어야 한다.
    공간 분해능 1.0mm 이하 식별 가능해야 한다.
    절편 두께 정확도 (T1,T2) 4.3~5.7mm 이내이어야 한다.
    절편 위치 정확도 (T1,T2) 5mm 이하이어야 한다.
    영상강도 균일성 (T1,T2) 3.0T 미만의 장비 : 87.5% 이상이어야 한다.
    3.0T 이상의 장비 : 82% 이상이어야 한다.
    고스트 신호 백분율 (T1) 2.5% 이하이어야 한다.
    대조도 분해능 (T1,T2) 3.0T 미만의 장비 : 4개 절편 (#8-11)에서 총합 9개 이상 식별 가능해야 한다.
    3.0T 이상의 장비 : 4개 절편(#8-11)에서 총합 37개 이상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 5. 임상영상검사 기준

    1) 검사방법

    제출영상

    1. 제2조제3항에 따른 특수의료장비 등록증명서에 등록된 용도가 전신용인 경우: 두부 영상 1개, 척추 영상 1개 (허리뼈, 목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관절 영상 1개(어깨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및 몸통 영상 1개(심장, 유방, 간, 전립선, 여성골반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2. 제2조제3항에 따른 특수의료장비 등록증명서에 등록된 용도가 특정 부위 전용인 경우: 다음의 구분에 따른 영상

    1) 두부ㆍ척추ㆍ관절 전용인 경우: 두부 영상 1개, 척추 영상 1개(허리뼈, 목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및 관절 영상 1개(어깨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2) 두부 전용인 경우: 두부 영상 1개
    3) 척추 전용인 경우: 척추 영상 1개(허리뼈, 목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4) 관절 전용인 경우: 관절 영상 2개(어깨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 중 둘을 선택할 수 있다)
    5) 척추ㆍ관절 전용인 경우: 척추 영상 1개(허리뼈, 목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관절 영상 1개(어깨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6) 두부ㆍ척추 전용인 경우: 두부 영상 1개, 척추 영상 1개(허리뼈, 목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7) 두부ㆍ관절 전용인 경우: 두부 영상 1개, 관절 영상 1개(어깨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점수계산 총점 100점
    합격기준 제출된 영상 모두 각각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으로 인정한다.

    2) 두부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시상(정면의 수직단면) T1강조영상
    - 축상(정면의 수평단면) T1강조영상
    - 축상 T2강조영상
    - 축상 T2 액체감약반전회복(FLAIR, 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영상
    - 그 외의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특수영상기법으로는 확산강조영상 혹은 뇌혈관조영술을 택일하여 제출한다. 특수영상기법에 대한 추가 점수 획득을 위해서는 해당 영상을 시행한 다른 환자의 영상을 제출할 수 있다.

    5.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3T 이상(1.5T 이상, 3T 미만이면 8점, 1.5T 미만이면 5점) 10
    영상정보항목(80)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 또는 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중 제출한 영상에 대해 평가함
    자기공명 뇌혈관 조영술(10) 혈관영상을 위한 재구성 영상(maximal intensity projection, volume rendered images)이 존재한다(2개 이상 방향의 회전영상이 있으면 2점, 한쪽 방향의 영상만 있으면 1점). 2
    혈관 재구성 전 원본 영상(source image)이 있다. 2
    척추동맥 V4 부위(intracranial segment) 전체가 포함되고 선명하게 관찰된다(V4 부위 일부만 포함되었거나 선명하지 않으면 1점). 2
    중뇌동맥은 기시부부터 분지 및 피질부위(M4)까지 선명하게 관찰된다. 2
    3차원화소(voxel)가 1㎣ 이하이다(영상 표지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없으면 점수를 받지 못한다). 2
    확산강조자기 공명영상(10) b0 영상, 확산강조영상(b≥1000초/㎟)이 있다.
    (한 항목 미충족시 1점, b1000초/㎟미만이면 0점)
    2
    격자수(matrix number) 128 × 128 이상이며 영상 화소(pixel)가 2㎟ 이하이다(한 항목 미충족시 1점). 2
    절편두께 5㎜ 이하 및 절편간격 2㎜ 이하(한 항목 미충족시 1점) 2
    겉보기확산계수(ADC) 지도(map)가 있다. 2
    확산강조영상 (b≥1000초/㎟) 에서 백질과 회질이 잘 구분된다(일부분에서 백질과 회질이 구분되지 않으면 1점). 2
    인공물(10)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둘러겹침(alias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포함범위(18) 축상 T2강조영상 두정부에서 대공(大孔, foramen magnum)까지 포함한다(두정부나 대공을 포함하지 않으면 3점 감점). 4
    두개골의 전후, 좌우 전체가 포함한다(두개골의 전후 좌우를 포함하지 않으면 3점 감점). 4
    시상 T1강조영상 두정부에서 대공(大孔, foramen magnum)까지 포함한다. 4
    정중앙 영상을 포함한다. 3
    축상 T2강조영상 및 액체감약반전회복(FLAIR)영상에서 양측 대뇌반구의 좌우대칭이 이루어진다. 3
    절편두께 적정성 (12) 절편두께 축상영상: 5㎜ 이하[각 맥동파 순서열(축상 T1강조영상, 축상 T2강조영상, 축상 T2 FLAIR영상)의 영상이 불충족할 때마다 1점 감점한다] 3
    시상영상: 5㎜ 이하 1
    절편간격 축상영상: 2㎜ 이하[(각 맥동파 순서열(축상 T1강조영상, 축상 T2강조영상, 축상 T2 액체감약반전회복(FLAIR)영상)의 영상이 불충족할 때 마다 1점 감점한다] 3
    시상영상: 2㎜ 이하 1
    영상 격자수 (matrix number) 및 화소(pixel) 축상 T1강조영상: 영상 격자수는 256 × 196 이상이고 화소는 1㎟이다. 1
    축상 T2강조영상: 영상 격자수는 256 × 196 이상이고 화소는 1㎟이다. 1
    축상 T2 FLAIR영상: 영상 격자수는 256 × 196 이상이고 화소는 1㎟이다. 1
    시상영상 : 영상 격자수는 256 × 196 이상이고 화소가 1㎟이다. 1
    영상대조도(30) 축상 T2강조영상 뇌회백질의 구분이 가능하다(일부분에서 뇌회백질이 구분되지 않으면 1점). 3
    기저핵의 세부구조가 구분된다(일부분에서 구분되지 않거나 한쪽이 구분되지 않으면 1점). 3
    근위부 중대뇌동맥(M1) 전체를 추적할 수 있다(일부분 부위를 추적할 수 없으면 1점). 3
    속대뇌정맥(internal cerebral vein) 전체를 추적할 수 있다(일부분 부위를 추적할 수 없으면 1점). 3
    다섯 번 째 뇌신경의 연수조(延髓槽, cisternal) 부위가 확인된다(한쪽만 보이면 1점). 3
    시상 T1강조영상 안구의 중앙 준위에서 양측 소내의 회백질을 구분할 수 있다(구분은 되나 선명하지 않으면 1점). 3
    축상 T1강조영상 대뇌의 백질과 회질이 잘 구분된다(일부분에서 구분이 안되거나 경계가 모호하면 1점). 3
    기저핵의 세부구조가 구분된다. 3
    축상 T2 액체감약반전회복(FLAIR)영상 뇌고랑, 뇌실 및 뇌수조가 백질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고 균일한 신호강도를 보인다(일부분에서 신호강도가 균일하지 못하면 1점). 3
    백질과 회질이 잘 구분된다(일부분에서 백질과 회질이 구분되지 않으면 1점). 3

    3) 허리뼈(요추)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시상 T1강조영상
    - 시상 T2강조영상 또는 T2*강조영상
    - 축상 T1강조영상, T2강조영상 중 1가지 이상
    - 그 외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추간판 탈출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상적인 허리뼈 영상을 제출한다.

    5. 조영증강을 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6.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3T 이상(1.5T 이상, 3T 미만이면 5점, 1.5T 미만이면 2점) 10
    영상정보항목(80)
    특수영상기법(10) 지방억제영상 또는 3차원영상 또는 목뼈가 포함된 척추전체시상영상이 포함되어 있고 영상품질이 우수하다(영상품질이 불량하면 5점). 10
    인공물(10)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둘러겹침(alias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포함범위 (12) 시상 T1 및 T2강조영상에서 양측 신경구멍을 모두 포함한다. 3
    시상 T1 및 T2강조영상에서 최소 등뼈 및 엉치뼈 1개 이상을 포함한다. 3
    허리뼈 가장 아래에서 부터 4개 이상의 추간판에 대한 축상 영상이 있다. 3
    축상 영상에서 상하 종판(終板)이 포함된 추간판 수준이 3개 이상이다. 3
    절편두께 적정성 (16)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가 4㎜ 이하이다. 4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가 4㎜ 이하이다. 4
    시상 영상의 절편간격이 절편두께의 20% 이하이다. 4
    축상 영상의 절편간격이 절편두께의 20% 이하이다. 4
    영상대조도(32)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섬유륜과 수핵이 뚜렷이 구분된다(일부에서 구분되지 않으면 4점). 7
    시상 T1강조영상에서 신경구멍 내의 신경근이 선명하게 보인다(신경구멍내의 신경근이 보이지만 선명하지 않으면 4점). 7
    축상 영상에서 추간판과 척추체 종판(終板)의 후면경계 전체가 보인다(일부가 구분되지 않으면 3점). 6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척수액과 척수 및 척수 신경총이 분명히 구분된다(척수액과 척수는 구별이 되고, 척수신경총이 구분되지 않으면 3점). 6
    축상 영상에서 척수액과 척수 또는 척수 신경총이 분명히 구분된다(척수액과 척수는 구별이 되고, 척수신경총이 구분되지 않으면 3점). 6

    4) 목뼈(경추)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시상 T1강조영상
    - 시상 T2강조영상
    - 축상 T1강조영상, T2강조영상 또는 기울기회복에코(GRE, gradient recalled echo) 영상 중 1가지
    - 그 외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추간판 탈출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상적인 목뼈 영상을 제출한다.

    5. 조영증강을 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6.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3T 이상(1.5T 이상, 3T 미만이면 5점, 1.5T 미만이면 2점) 10
    영상정보항목(80)
    특수영상기법(10) 지방억제영상 또는 3차원 영상 또는 허리뼈가 포함된 척추전체시상영상이고 영상품질이 우수하다(영상품질이 불량하면 5점). 10
    인공물(10)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둘러겹침(alias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포함범위(12) 시상 영상에서 양측 신경구멍을 포함한다. 3
    시상 영상에서 고리뒤통수관절(atlanto-occipital joint)과 1개 이상의 등뼈를 포함한다. 3
    4개 이상의 목뼈 추간판에 대한 축상 영상이 있다. 3
    축상 영상에서 상하 종판(終板)이 포함된 추간판 수준이 3개 이상이다. 3
    시상 영상에서 대뇌를 포함하거나 등뼈를 7개 이상 포함한다. -3
    절편두께 적정성 (16)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가 3㎜ 이하이다. 4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가 3㎜ 이하이다. 4
    시상 영상의 절편간격이 절편두께의 20% 이하이다. 4
    축상 영상의 절편간격이 절편두께의 20% 이하이다. 4
    영상대조도(32)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섬유륜과 수핵이 구분된다(일부에서 구분되지 않으면 4점). 7
    시상 T1강조영상에서 신경구멍 내의 신경근이 선명하게 보인다(신경구멍내의 신경근이 보이지만 선명하지 않으면 4점). 7
    축상 영상에서 추간판과 척추체 종판(終板)의 후면경계 전체가 보인다(일부가 구분되지 않으면 4점). 6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척수액과 척수가 구분된다(척수액과 척수의 구분이 일부만 되어 보이면 4점). 6
    축상 영상에서 척수액과 척수가 구분된다(척수액과 척수의 구분이 일부만 되어 보이면 3점). 6

    5) 어깨관절(견관절)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시상 양자밀도강조영상, T2강조, T1강조영상 중 1가지 이상
    - 관상(측면의 수직단면) 양자밀도강조영상, T2강조, T1강조영상 중 2가지 이상
    - 축상 양자밀도강조영상, T2강조, T1강조영상 중 1가지 이상
    - 그 외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어깨관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상적인 어깨관절 영상을 제출한다.

    5. 조영증강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6.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3T 이상(1.5T 이상, 3T 미만이면 5점, 1.5T 미만이면 2점) 10
    영상정보항목(80)
    특수영상기법(10) 지방억제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이 포함되어 있고 영상 품질이 우수하다(영상 품질이 불량하면 5점). 10
    인공물(10)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둘러겹침(alias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포함범위 (9) 축상 영상에서 상하로 봉우리빗장관절(acromioclavicular joint)과 겨드랑이오목(axillary recess)을 모두 포함한다. 3
    관상 영상에서 전후로 부리돌기(coracoid process)와 어깨뼈가시(scapular spine)을 포함한다. 3
    시상 영상에서 내외로 상완골 대결절과 극관절 파임(spinoglenoid notch)를 모두 포함한다. 3
    절편두께 적정성 (23)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 3㎜ 이하이다(3㎜ 초과 4㎜ 이하면 2점). 4
    축상 영상의 절편간격 절편두께의 10% 이하이다(절편두께의 10% 초과 20% 이하면 2점). 4
    관상 영상의 절편두께 3㎜ 이하이다(3㎜ 초과 4㎜ 이하면 2점). 4
    관상 영상의 절편간격 절편두께의 10% 이하이다(절편두께의 10% 초과 20% 이하면 2점). 4
    조사야(FOV)는 18㎝ 이하이다. 3
    격자수(matrix number)는 256 × 192 이상이다. 4
    영상대조도(28) 관절오목테두리(labrum)가 선명하게 보인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회전근개간격(rotator interval)이 구분된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가시위힘줄(supraspinatus tendon)의 골 부착부위 평가가 가능하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가시아래힘줄(infraspinatus tendon)의 골 부착부위 평가가 가능하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어깨밑힘줄(subscapularis tendon)의 골 부착부위 평가가 가능하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이두근힘줄(biceps tendon) 전체가 선명하게 보인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겨드랑이오목(axillary recess)의 평가가 가능하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6) 무릎(슬관절)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시상 양자밀도강조영상, T2강조, T1강조영상 중 1가지 이상
    - 관상 양자밀도강조영상, T2강조, T1강조영상 중 2가지 이상
    - 축상 양자밀도강조영상, T2강조, T1강조영상 중 1가지 이상
    - 그 외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무릎관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상적인 무릎관절 영상을 제출한다.

    5. 조영증강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6.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3T 이상(1.5T 이상, 3T 미만이면 5점, 1.5T 미만이면 2점) 10
    영상정보항목(80)
    특수영상기법(10) 지방억제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이 포함되어 있고 영상 품질이 우수하다(영상품질이 불량하면 5점). 10
    인공물(10)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둘러겹침(alias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포함범위(9) 시상 영상에서 종아리뼈머리와 내측부인대를 포함한다. 3
    관상 영상에서 오금 동맥과 무릎뼈를 포함한다. 3
    축상 영상에서 무릎뼈 전체와 정강이뼈 돌기를 포함한다. 3
    절편두께 적정성 (23)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3㎜ 이하이다(3㎜ 초과 4㎜ 이하면 3점). 4
    시상 영상의 절편간격 절편두께의 10% 이하이다(절편두께의 10% 초과 20% 이하면 2점). 4
    관상 영상의 절편두께 3㎜ 이하이다(3㎜ 초과 4㎜ 이하면 3점). 4
    관상 영상의 절편간격 절편두께의 10% 이하(절편두께의 10% 초과 20% 이하면 2점) 4
    조사야(FOV)는 16㎝ 이하이다. 3
    격자수(matrix number)는 256 × 192 이상이다. 4
    영상대조도(28) 시상과 관상 영상에서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전체의 경계가 분명하다(경계가 부분적으로 불분명하면 2점). 4
    시상과 관상 영상에서 반월판연골(meniscus) 전체의 경계가 분명하다(경계가 부분적으로 불분명하면 2점). 4
    시상과 관상 영상에서 후방십자인대(posterior cruciate ligament) 전체의 경계가 분명하다(경계가 부분적으로 불분명하면 2점). 4
    관상 영상에서 내측측부인대(medial collateral ligament) 전체의 경계가 분명하다(경계가 부분적으로 불분명하면 2점). 4
    관상 영상에서 외측측부인대(lateral collateral ligament) 전체의 경계가 분명하다(경계가 부분적으로 불분명하면 2점). 4
    축상 영상에서 연골과 관절액의 신호강도가 구분된다(신호강도가 부분적으로 구분되지 않으면 2점). 4
    시상 영상에서 연골과 관절액의 신호강도가 구분된다(신호강도가 부분적으로 구분되지 않으면 2점). 4

    7) 발목관절(족관절)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시상 T2강조영상 또는 그 외 시상영상 1가지 이상
    - 관상 T2강조영상 또는 그 외 관상영상 1가지 이상
    - 축상 T2강조영상 또는 그 외 축상영상 1가지 이상
    - 그 외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발목관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상적인 발목관절 영상을 제출한다.

    5. 조영증강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6.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3T 이상(1.5T 이상, 3T 미만이면 5점, 1.5T 미만이면 2점) 10
    영상정보항목(80)
    특수영상기법(10) 지방억제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이 포함되어 있고 영상 품질이 우수하다(영상품질이 불량하면 5점). 10
    인공물(10)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둘러겹침(alias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포함범위(9) 시상 영상에서 발허리뼈 기저(metatarsal base)와 아킬레스힘줄(achilles tendon)을 포함한다. 3
    관상과 축상영상에서 정강이뼈 안쪽 복사뼈와 바깥쪽 복사뼈를 포함한다. 3
    시상, 관상, 축상 영상에서 정강이뼈 말단부위와 발꿈치뼈 바닥까지를 포함한다. 3
    절편두께 적정성 (23)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3㎜ 이하이다(3㎜ 초과 4㎜ 이하면 2점). 4
    시상 영상의 절편간격 절편두께의 10% 이하이다(절편두께의 10% 초과 20% 이하면 2점). 4
    관상 영상의 절편두께 3㎜ 이하이다(3㎜ 초과 4㎜ 이하면 2점). 4
    관상 영상의 절편간격 절편두께의 10% 이하이다(절편두께의 10% 초과 20% 이하면 2점). 4
    조사야(FOV)는 16㎝ 이하이다. 3
    격자수(matrix number)는 256 × 192 이상이다. 5
    영상 대조도 (28) 삼각인대(deltoid ligament) 전체가 선명하게 보인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앞목말종아리 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전체가 선명하게 보인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발꿈치종아리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 전체가 선명하게 보인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앞아래정강종아리 인대(anterior 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전체가 선명하게 보인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목말뼈연골(talus cartilage) 전체가 선명하게 보인다(신호강도가 불균질하게 보이면 2점). 4
    뒤정강이힘줄(tibialis posterior tendon) 전체가 선명하게 보인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긴종아리힘줄ㆍ짧은종아리힘줄(peroneus longusㆍbrevis tend on) 전체가 선명하게 보인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게 보이면 2점). 4

    8) 심장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영화영상(cine imaging)
    - 지연조영증강영상
    - 그 외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3. 허혈성 심질환 또는 심근병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상적인 영상을 제출한다.

    4.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1.5T 이상 10
    영상정보항목(80)
    인공물(18)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호흡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심장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깁스 고리(Gibbs ringing) 또는 절단(truncation)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둘러겹침(aliasing 또는 wrap-around)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포함범위 및 영상 방향의 적절성(20) 수직장축(vertical long axis)은 횡축(transverse scout)에 직각이면서 심첨(心尖)과 승모판(mitral valve) 가운데를 지나는 면이다. 4
    수평장축(horizontal long axis)은 수직장축에 직각이면서 심첨과 승모판 가운데를 지나는 면이다. 4
    좌심유출로장축(LV outflow tract long axis)은 심첨과 승모판 중앙, 대동맥판막 중앙을 지나는 면이다. 4
    단축영상은 장축영상에 직각이다. 4
    지연조영증강영상의 단축영상은 절편간격을 적절히 두어 10㎜ 간격이다. 4
    영화 영상(20) 시간 해상도는 45msec 이하이다(심박동 1회당 영상획득 25회 이상). 5
    절편두께가 8㎜ 이하이다(8㎜ 초과 10㎜ 이하면 3점, 10㎜ 초과면 1점). 5
    단축영상은 좌심실 전체를 포함한다. 5
    절편간격을 적절히 두어 10㎜ 간격이다. 5
    지연조영 증강영상(20) 역전회복 기울기에코(inversion recovery GRE) 또는 항정상태자유세차(SSFP)와 위상민감역전회복(PSIR, phase-sensi tive inversion-recovery) 영상이 모두 있다. 5
    영화영상과 같은 면(방향, 절편두께, 간격)이다. 5
    평면 내 해상도(in-plane resolution)가 2㎜ 이하이다. 5
    정상심근의 신호강도가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TI 정찰영상이 있다). 5
    조영제 표시 (2) 조영제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 2

    9) 유방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T2강조영상
    - T1강조영상
    - 다중시기(두 시기 이상)의 조영증강 T1강조영상
    - 그 외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유방 전용코일을 사용해야 한다.

    3. 평가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엎드린자세(prone position)로 촬영한 영상을 제출한다.

    5.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3T 이상(1.5T 이상, 3T 미만이면 5점) 10
    영상정보항목(80)
    유방 내 인공물(10)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둘러겹침(alias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3
    판독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인공물이 있다. -5
    조영증강기법(27) 조영제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 3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기법 지방억제 T1강조영상으로 조영 전 영상과 조영 후 30초 ? 2분 간격의 3회 이상의 연속영상이 모두 제공되며 병변의 운동곡선을 포함한 영상(컴퓨터자동검출영상 대체 가능)이 있다(운동곡선이 없을 때는 2점). 5
    조영증강 후 T1강조영상은 지방억제 영상이다. 4
    초기 시기(early phase) 조영증강 T1강조영상 중 60-120초 사이에 획득한 영상을 포함한다(포함하지 아니하면 0점). 5
    지연 시기(delayed phase) 조영증강 T1강조영상을 4분 이후에 촬영한다(조영증강 마지막 영상이 4분 이내이면 0점). 5
    감산(subtraction) 기법을 사용한다. 5
    포함범위 및자세잡기(13) 양측 유방을 모두 포함한다. 3
    양측 유방의 영상이 젖샘가쪽돌기(axillary tail)부터 유방밑주름(inframammary folds)까지 포함한다(일부가 포함되면 2점). 4
    유방 모양에 변형이 없다(유방 모양이 일부 눌리거나 찌그러져 있으면 2점, 판독에 지장을 줄 정도면 0점). 3
    겨드랑이 림프절이 레벨 I, II까지 포함한다(레벨 I만 포함되면 2점). 3
    유방 조직의 일부가 포함되지 않는다. -5
    특수영상(8) 3차원 최대강도투사(MIP) 영상을 포함한다. 4
    확산강조영상의 높은 b값(high b values)은 750초/㎟ ? 1000초/㎟ 사이에서 획득한다. 4
    절편두께, T1강조영상(10) 절편두께 3㎜ 이하이다(3㎜ 초과 5㎜ 이하면 3점). 5
    모든 영상에서의 절편간격 없다(0㎜ 초과 2㎜ 이하면 2점). 5
    영상해상도ㆍ 시간해상도(12) 평면 내 화소(in-plane pixel) 1㎜ 이하이다(1㎜ 초과 2㎜ 이하면 2점). 4
    T2강조영상에서 밝게 보이는 물혹이 잘 구분된다(일부분에서 구별이 잘 안되면 2점). 4
    시간해상도
    (temporal resolution)
    120초 이하(120초 초과 150초 미만이면 2점) 4

    10) 간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축상 T1강조영상
    - 축상 T2강조영상
    - 축상 확산강조영상
    - 축상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
    - 그 외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3. 간질환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상적인 간 영상을 제출한다.

    4.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3T 이상(1.5T 이상, 3T 미만이면 7점) 10
    영상정보항목(80)
    인공물(12)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둘러겹침(alias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포함범위 (16) 축상 T2강조영상 및 축상 확산강조영상 간 전체를 포함한다. 4
    복강의 좌우, 전후 전체를 포함한다. 2
    축상 T1 및 축상 역동적 조영증강영상 간 전체를 포함한다. 4
    복강의 좌우, 전후 전체를 포함한다. 2
    담낭 및 간외 담도가 포함된 영상이 있다. 2
    비장이 포함된 영상이 있다. 2
    조영증강 기법(17) 조영제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 3
    조영전 영상, 간동맥기 영상, 간문맥기 영상, 지연기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 5
    역동적 조영증강영상은 3차원 영상으로 얻는다. 4
    동맥기에서는 간동맥이 매우 잘 조영되고, 간문맥이 부분적으로 약하게 조영되며, 간정맥이 조영되지 않는다(간정맥이 약하게 조영되나 간동맥이 비교적 명확히 보이면 2점). 4
    동맥기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산영상(subtraction)이 있다. 1
    절편두께 적정성 및 다평면 영상의 적정성 (14) 축상 T2 영상의 절편두께가 8㎜ 이하이다. 2
    축상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의 절편두께가 5㎜ 이하이다(5㎜ 초과 8㎜ 이하면 1점). 2
    축상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의 절편간격이 없다. 2
    절편두께 8㎜ 이하의 관상영상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5
    축상 영상의 기준 격자수 (matrix number) T1강조영상은 256 × 192 이상이며, 위상부호화방향으로 192 이상이다. 1
    T2강조영상은 256 × 160 이상이며, 위상부호화방향으로 160 이상이다. 1
    확산강조영상은 128 × 96 이상이며, 위상부호화방향으로 96 이상이다. 1
    영상대조도(14) 축상 T2강조영상에서 간의 윤곽이 뚜렷하다(간의 윤곽이 뚜렷하지 않지만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1점). 2
    축상 T2강조영상에서 간문맥이 구분된다(간문맥의 윤곽이 흐릿하지만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1점). 2
    중(heavily) T2강조영상(에코시간 140msec 이상)을 포함한다. 3
    화학 전위 영상(동일위상, 역위상)을 포함한다. 5
    축상 T2강조영상에서 간내담관과 간외담관이 주변 구조물과 잘 구분되어 보인다(주변구조물과의 윤곽이 흐릿하지만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1점). 2
    확산강조영상(7) 축상 확산강조영상의 b값이 3개 이상이다(2개 이상이면 3점) 4
    확산강조영상에서 겉보기확산계수(ADC) 영상을 포함한다. 3

    11) 전립선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시상 T2강조영상
    - 축상 T2강조영상
    - 관상 T2강조영상
    - 축상 확산강조영상
    - 그 외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3. 전립선 질환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상적인 전립선 영상을 제출한다.

    4.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3T 이상(1.5T 이상, 3T 미만이면 5점, 1.5T 미만이면 2점) 10
    영상정보항목(80)
    인공물(14)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1점). 3
    둘러겹침(alias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1점). 3
    위장관 운동으로 인한 인공물이 없다(장과 방광주위에 움직임 인공물로 인해 흐릿함이 있으나 전립선에 인공물이 없으면 1점). 3
    확산강조영상에서 직장 내 공기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1점). 3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1점). 2
    포함범위 (17) 시상 T2강조영상 방광의 전체, 정낭, 전립선 전체를 포함한다. 3
    골반강의 좌우, 전후 전체를 포함한다. 3
    축상 T2 및 축상 확산강조영상 방광의 일부, 정낭과 전립선 전체를 포함한다. 3
    골반강의 좌우, 전후 전체를 포함한다. 3
    대동맥 분지부가 포함된 영상이 있다. 3
    축상 T2강조영상에서 양측 엽의 좌우대칭이 이루어진다. 2
    조영증강 기법(10) 조영제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 2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기법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 전부를 제출한다(운동곡선,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지도만 포함한 경우 1점). 2
    동일 평면에 대해 10회 이상의 영상이 획득된다. 2
    역동적 조영증강영상에 감산영상(subtraction)을 포함한다. 2
    축상 역동적 조영증강영상의 면(두께 및 방향)이 축상 T2강조영상과 일치한다. 2
    절편두께 적정성 및 다평면 영상의 적정성(24) 축상 T2강조영상 및 축상 확산강조영상 절편두께 4㎜ 이하이다(4㎜ 초과 5㎜ 이하면 1점). 3
    축상 T2강조영상 절편간격 1㎜ 이하이다. 2
    시상 T2강조영상 절편간격 4㎜ 이하이다(4㎜ 초과 5㎜ 이하면 1점). 3
    시상 T2강조영상 절편간격 1㎜ 이하이다. 2
    관상 T2강조영상 절편간격 4㎜ 이하이다(4㎜ 초과 5㎜ 이하면 1점). 3
    관상 T2강조영상 절편간격 1㎜ 이하이다. 2
    평면 내 해상도 (in-plane resolution) 축상 T2강조영상에서 0.7㎜ 이하이다. 2
    축상 확산강조영상에서 2.5㎜ 이하이다. 2
    조사야(FOV) 축상 영상에서 180 ? 220㎜이다. 3
    축상 T2강조영상의 면(두께 및 방향)이 축상 확산강조영상과 일치한다. 2
    영상대조도(10) 축상 T2강조영상에서 전립선의 주변부와 이행부의 구분이 뚜렷하다(전립선이 포함된 영상 중 절반 이하에서 주변부와 이행부의 경계가 불분명하면 1점). 2
    축상 T2강조영상에서 이행부 내부의 비균일한 신호가 뚜렷하게 관찰된다(신호강도가 비균일하지만 경계가 불분명하면 1점). 2
    축상 T2강조영상에서 전립선 요도가 뚜렷하게 구분된다(전립선요도와 막요도(membranous urethra)의 경계가 일부분에서 불분명하면 1점). 2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전립선 요도가 뚜렷하게 구분된다(전립선요도, 막요도, 구부요도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 부분이 절반 이하면 1점). 2
    T1강조영상이 있다. 2
    확산강조영상(5) 높은 b값(high b values) 800초/㎟ 이상이다(500초/㎟ 이상 800초/㎟ 미만이면 1점). 3
    확산강조영상에서 겉보기확산계수(ADC) 영상을 포함한다. 2

    12) 여성 골반강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다음의 맥동파 순서열(pulse sequences)을 제출한다.

    - 시상 T2강조영상
    - 축상 T2강조영상
    - 축상 T1강조영상
    - 그 외 맥동파 순서열을 포함하여 검사한 경우에는 모두 함께 제출한다.

    2.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3. 자궁질환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상적인 골반강 영상을 제출한다.

    4.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평가내용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10점)
    표지(10) MR 검사표지 기기명칭 1
    자장의 세기 1
    영상두께 1
    반복시간(TR)ㆍ에코시간(TE)ㆍ여기횟수(NEX) 1
    조사야(FOV) 1
    격자수(Matrix Number) 1
    일반정보 눈금자(scaler)가 있다. 1
    방향표시가 있다. 1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1
    위치확인영상이 있거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인 경우 정찰영상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1
    장비 (10점)
    장비기준(10) 테슬라(tesla) 3T 이상(1.5T 이상, 3T 미만이면 7점) 10
    영상정보항목(80)
    인공물(16)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둘러겹침(alias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위장관 운동으로 인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4
    포함범위(15) 시상 T2강조영상 자궁과 질 전체를 포함한다. 3
    골반강의 좌우, 전후 전체를 포함한다. 2
    축상 T2강조영상 자궁과 질 전체를 포함한다. 3
    골반강의 좌우, 전후 전체를 포함한다. 2
    축상 T1강조영상 골반강의 좌우, 전후 전체를 포함한다. 3
    신장과 후복막강이 포함된 영상이 있다. 2
    조영증강기법(6) 조영증강을 시행한다. 2
    역동적 조영증강영상은 3차원으로 얻는다. 2
    조영제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 2
    절편두께 적정성 및 다평면영상의 적정성(23) 축상 T2강조영상의 절편두께 5㎜ 이하이다(5㎜ 초과 8㎜ 이하면 1점). 3
    축상 T2강조영상의 절편간격 1㎜ 이하이다. 3
    축상 영상의 기준 격자수 (matrix number) T2강조영상에서 최소한 한 축이 250 이상이다. 1
    T1강조영상에서 최소한 한 축이 250 이상이다. 1
    시상 T2 영상의 절편두께 5㎜ 이하이다(5㎜ 초과 8㎜ 이하면 1점). 3
    시상 T2 영상의 절편간격 1㎜ 이하이다. 3
    조영증강 T1영상의 절편두께 5㎜ 이하이다. 2
    조영증강 T1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1
    조사야(FOV) 축상영상에서 180 ~ 250㎜이다. 2
    시상영상에서 180 ~ 250㎜이다. 2
    관상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 2
    영상대조도(12) 축상 T2강조영상에서 자궁의 층[내막층, 접합부(junctional zone), 근층]이 구별된다(구별되지 않는 부위가 자궁체부의 절반 이하면 1점). 3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자궁의 층[내막층, 접합부(junctional zone), 근층]이 구별된다(구별되지 않는 부위가 자궁체부의 절반 이하면 1점). 3
    자궁경부와 자궁주위조직이 구분된다(일부가 구분되지 않으면 1점). 3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질이 주변조직과 구별된다(구별되지 않는 부위가 질 전체길이의 절반 이하면 1점). 3
    영상기법(4) 자궁 체부 또는 경부의 축에 맞춰 시행된 비스듬한 관상영상(oblique coronal image) 또는 비스듬한 축상영상(oblique axial image)이 있다. 2
    지방억제 T1강조영상이 있다. 2
    확산강조영상(4) 높은 b값(high b values) 800초/㎟ 이상이다(500초/㎟ 이상 800초/㎟ 미만이면 1점). 2
    확산강조영상에서 겉보기확산계수(ADC) 영상을 포함한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