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인력 기준

    1) 비전속 영상의학과전문의 1인 이상
    2) 전속 방사선사 1인 이상

  • 2. 시설 기준

    - 시지역(광역시의 군 포함)
    200병상 이상. 다만, 200병상에 미달하는 의료기관이 다른 의료기관과 공동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지 제2호서식의 특수의료장비공동 활용동의서를 제출한 의료기관과의 병상합계가 200병상 이상이어야 한다.
    - 군지역(인구 10만이하의 시지역 포함)
    100병상 이상. 다만, 100병상에 미달하는 의료기관이 다른 의료기관과 공동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지 제2호서식의 특수의료장비공동 활용동의서를 제출한 의료기관과의 병상합계가 100병상 이상이어야 한다.

  • 3. 정도관리기록 기준

    1.필름
    1) 테이블 이동 점검(매일) 2) 하드카피장치의 작동 점검(매일) 3) 데이터 저장장치 작동 점검(매일) 4) 현상기 성능 관리(매일) 5) 조영제 주입기 작동 점검(매일) 6) 판독실의 조명, 환기, 온도, 소음 점검(매주) 7) 응급환자 구조용 시스템 점검(매주) 8) 응급 중다 스위치 작동 점검(매주) 9) 임상영상평가(3개월) 10) 환자테이블의 이동간격 정확도 시험(6개월) 11) 관전압 시험(6개월) 12) 관전류 시험(6개월) 13) 표준팬텀을 이용한 시험(6개월) 14) CT number 직선성(1년) 15) 위치확인영상(scout localization view)의 정확도 점검(1년) 16) 영상에서의 측정치와 실측정치의 비교평가(1년) 17) 판독대와 판독실의 조도 측정(1년) 18) 환자피폭선량피폭시험(1년)

    2.PACS
    1) 테이블 이동 점검(매일) 2) 데이터 저장장치 작동 점검(매일) 3) 조영제 주입기 작동 점검(매일) 4) 판독실의 조명, 환기, 온도, 소음 점검(매주) 5) 응급환자 구조용 시스템 점검(매주) 6) 응급 중다 스위치 작동 점검(매주) 7) 임상영상평가(3개월) 8) 판독용 모니터 관리(3개월) 9) 환자테이블의 이동간격 정확도 시험(6개월) 10) 관전압 시험(6개월) 11) 관전류 시험(6개월) 12) 표준팬텀을 이용한 시험(6개월) 13) CT number 직선성(1년) 14) 위치확인영상(scout localization view)의 정확도 점검(1년) 15) 영상에서의 측정치와 실측정치의 비교평가(1년) 16) 판독대와 판독실의 조도 측정(1년) 17) 환자피폭선량피폭시험(1년)

    * 매월주기 미만의 항목은 서류검사 시 정도관리기록대장사본을 제출하지 않으며, 정밀검사 시 정도관리기록대장 원본과 시험검사물로 시행여부를 확인한다.
    * 정도관리항목 중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안전관리에관한규칙」에 의해 검사를 실시한 항목은 해당 검사항목의 검사주기에 한하여 정도관리기록검사를 면할 수 있다. 다만, 시험성적을 정도관리대장에 기록하고 그 시험검사성적서(또는 사본)을 보관하여야 한다.

    특수의료장비 수리, 변경이력대장 서식(서식은 자료실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레이저 프린터 또는 PACS 사용으로 인해 해당되지 않는 항목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제외합니다.

  • 4. 팬텀영상검사 기준
    표준팬텀 AAPM CT Performance Phantom 76-410 및 이와 동등함이 검증된 팬텀
    팬텀촬영조건 120Kvp, 250mAs, 10mm collimation, 25㎝ 이상 FOV, 50cm Scan FOV, 25cm Display FOV, Standard Reconstruction Algorithm
    제출영상 팬텀 촬영 영상 1부(영상에는 장비고유번호와 촬영날짜 표시)

    - 합격기준

    항목 합격기준
    물의 CT감약계수(X-선 흡수계수) 0 ± 7 HU 이어야 한다
    노이즈 5 HU 이하이어야 한다.
    균일도 중심부와 주변부간 5 HU 이하이어야 한다.
    공간 분해능 (mm로 기록) 1.0 mm 이하 식별 가능해야 한다.
    대조도 분해능 (mm로 기록) 6.4 mm 이하 식별 가능해야 한다.
    절편 두께(5 mm 및 10 mm 에서 측정시 오차 범위 기록) 1 mm 이하, -1mm 이상이어야 한다.
    인공물 유무 (유무로 표시) 없어야 한다.
  • 5. 임상영상검사 기준

    1) 검사방법

    제출영상

    1. 제2조제3항에 따른 특수의료장비 등록증명서에 등록된 용도가 전신용인 경우: 두부, 일반 흉부, 저선량 흉부, 역동적 조영증강 간 영상

    2. 제2조제3항에 따른 특수의료장비 등록증명서에 등록된 용도가 비조영증강 전신용인 경우: 저선량 흉부, 비조영증강 복부 영상

    3. 제2조제3항에 따른 특수의료장비 등록증명서에 등록된 용도가 전용인 경우: 해당 부위 영상

    점수계산 총점 100점
    합격기준 제출된 영상 모두 각각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으로 인정한다.

    2) 두부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조영증강 전 CT를 기본으로 제출한다

    2. 특수영상기법으로 CT 뇌혈관 조영술을 제출한다. 특수 영상 기법에 대한 추가 점수 획득을 위해서는 해당 영상을 시행한 다른 환자의 영상을 제출할 수 있다.

    3.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뇌질환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상적인 두부 영상을 제출한다.

    5.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4점)
    표지(4) 일반정보 스캔영상(scanogram)이 있다. 1
    영상순서(image number, scan time 등)가 확인된다. 1
    눈금자(scaler)가 표시되어 있다. 1
    좌우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1
    장비 및 방사선피폭관리 기준(20점)
    장비기준(10) 다중검출CT(multidetector CT)검출기 채널기준 64채널 이상(16채널 이상 64채널 미만 6점, 2채널 이상 16채널 미만 3점) 10
    방사선 피폭관리(10) 선량보고서가 있다. 5
    120kVp 이하의 관전압(tube voltage)으로 검사된다. 5
    영상정보항목(76점)
    인공물(10) 호흡에 의한 인공물 혹은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1
    천막상부에서 선속경화(beam-hardening) 인공물이 없다. 1
    환자가 스캔 중심부에 위치한다. 1
    양팔을 내린 상태로 검사한다. 1
    신체 장신구, 불필요한 기구, 스캔에 영향을 미치는 장치가 없다. 3
    고리(ring) 인공물이 없다. 3
    영상스캔범위(12) 두정부에서 두개골 기저부(foramen magnum) 까지 포함한다. 3
    두개골 전폭(상하ㆍ전후ㆍ좌우)을 포함한다. 3
    영상이 안장결절 뒤통수뼈융기선(tuberculum sellar-occipital protuberance line)에 맞추어져 있다. 3
    좌우가 대칭적이다. 3
    영상재구성 적정성(4) 뇌설정과 골격설정이 별도로 존재하거나 적절한 영상창 조절이 가능하다. 2
    뇌설정과 골격설정이 각각 적합한 알고리즘으로 재구성된다. 2
    절편두께 및 다평면영상의 적정성 (8) 절편두께가 5㎜ 이하이다. 4
    절편간격이 없다. 4
    해상도 및 대조도(32) 회백질과 백질을 구분할 수 있다(부분적으로 불분명하면 2점). 4
    기저핵이 구분된다(한쪽만 구분되거나 일부분만 구분되면 2점). 4
    실비우스 열창(sylvian fissure)이 구별된다(한쪽만 구별되거나 일부분만 구별되면 2점). 4
    뇌고랑이 식별된다(식별되지 않는 부분이 전체 뇌의 절반 이하면 2점). 4
    중대뇌동맥의 근위부가 식별된다(한쪽만 식별되거나 일부만 식별되면 2점). 4
    소뇌 충부(vermis)가 식별된다(불분명하게 식별되면 2점). 4
    소뇌다리뇌수조(cerebellopontine cistern)가 식별된다(한쪽만 식별되거나 일부만 식별되면 2점). 4
    소뇌의 피질과 심부백질을 구분할 수 있다(한쪽만 구분되거나 일부만 구분되면 2점). 4
    뇌혈관 조영술(10) 혈관영상을 위한 재구성 영상이 4종류 이상 있다. 이 경우 재구성 영상의 종류는 최대강도투사(maximal intensity projection, 다평면으로 획득시 각각 인정), 골감산영상(bone subtraction images), 체적가시화 영상(volume rendered images) 등이다(영상 종류가 3개면 3점, 2개면 2점, 1개 이하면 0점). 4
    두개골 기저부의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의 조영증강이 인접한 내경정맥(internal jugular vein)보다 현저히 높다. 2
    재구성 영상에서 중대뇌동맥의 M4 분지까지 선명하게 추적(trace)할 수 있다. 2
    원본영상에서 경동맥관(carotid canal) 내 내경동맥이 뚜렷하게 관찰된다. 2

    3) 일반흉부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일반 흉부 CT 영상을 제출한다. 고해상 CT 영상은 제출대상에서 제외한다. 원칙적으로 조영증강 후 영상을 제출하며 부득이한 경우 조영증강 전 영상을 제출할 수 있으나 해당 항목의 점수를 받을 수 없다.

    2.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영상의 경우 폐 및 종격동 설정 변경이 가능해야 한다. 필름 영상의 경우 폐 및 종격동 설정이 각각 있어야 한다.

    3.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평가내용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4점)
    표지(4) 일반정보 스캔영상(scanogram)이 있다. 1
    영상순서(image number, scan time 등)가 확인된다. 1
    눈금자(scaler)가 표시되어 있다. 1
    좌우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1
    장비 및 방사선피폭관리 기준(20점)
    장비기준(10) 다중검출CT(multidetector CT)검출기 채널기준 64채널 이상(16채널 이상 64채널 미만 6점, 2채널 이상 16채널 미만 3점) 10
    방사선 피폭관리(10) 선량보고서가 있다. 4
    자동노출조사(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를 사용한다. 4
    120kVp 이하의 관전압(tube voltage)으로 검사된다. 2
    영상정보항목(76점)
    인공물(10)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호흡에 의한 움직임이나 영상순서의 흐트러짐이 없다. 2
    심장박동에 의하여 상행대동맥과 폐동맥의 경계가 흐려지지 않는다. 2
    심장박동에 의하여 하행대동맥과 폐정맥의 경계가 흐려지지 않는다. 2
    판독을 방해하는 선속경화(beam hardening) 인공물이 없다 어깨관절 부위를 제외한 전체 흉부 영역에서 선속경화(beam hardening) 인공물이 없다. 2
    기기 자체에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 어떤 장비적 인공물도 없다. 2
    영상 스캔 범위(12) 폐첨부(肺尖部)에서 횡격막늑골각까지 포함한다. 폐첨부보다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영상을 포함한다. 2
    횡격막늑골각 이하 폐가 보이지 않는 사진이 최소 1장 있다. 2
    부신을 완전히 포함한다. 2
    흉벽전체를 포함한다. 횡격막 상부에서 흉벽이 피부까지 완전히 포함한다. 2
    양측 상완골두 직경의 50% 이상을 포함한다. 2
    영상에서 흉벽의 최대 좌우 폭이 차지하는 비율이 80% 이상이다. 횡격막 상부에서 몸통의 좌우 직경이 영상 화면 직경의 80% 이상이다. 2
    과도한 검사부위 성대 상단보다 윗 부분을 포함한다. -3
    신장 하단보다 아래 부분을 포함한다. -3
    조영제 표시(5) 조영제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 3
    조영제 총량이 기술되어 있다. 2
    조영증강의 적정성(8) 대동맥이 적절히 조영증강된다. 2
    폐동맥이 폐문부 이하까지 적절히 조영증강된다. 2
    조영된 내흉동맥(internal mammary artery)이 구분된다. 2
    스캔 시간에서 종료부분까지 영상의 질이 유사하게 유지된다. 2
    영상 재구성 적정성(9) 연부조직 표준(standard) 알고리즘의 영상 시리즈가 있다. 4
    폐 고해상(sharp) 알고리즘의 영상 시리즈가 있다. 3
    영상 창 조절이 가능하다. 2
    절편두께 및 다평면 영상의 적정성(17)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 5㎜ 이하이다. 4
    2㎜ 이하의 얇은 두께의 영상을 포함한다. 3
    축상 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4
    관상 영상을 포함하고 있다. 1
    관상 영상의 절편두께 5㎜ 이하이다. 1
    관상 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1
    시상 영상을 포함하고 있다. 1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5㎜ 이하이다. 1
    시상 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1
    관상 또는 시상 영상에 인공물(step-ladder artifact 등)이 있다. -3
    해상도 및 대조도(15) 말단 부위의 1/3 이하의 폐혈관을 구분할 수 있다. 흉막 바로 아래 부위를 제외한 폐전체의 폐혈관 경계가 분명하다. 3
    세분절(subsegmental) 기관지를 구분할 수 있다. 세분절(subsegmental) 이하의 기관지벽이 구분된다. 3
    종격동(좌우 흉막강 사이에 있는 부분) 구조를 구분할 수 있다. 종격동지방, 흉선(가슴샘)조직, 림프절, 심막지방이 명확히 구분된다. 3
    기관 주변 조직을 구분할 수 있다. 기관의 외벽과 인접한 종격동 구조물을 구분할 수 있다. 2
    기관 주변 림프절의 존재 여부가 확인된다. 2
    폐문부의 림프절과 폐혈관을 구분할 수 있다. 폐문부에서 주요 폐혈관과 림프절이 분명히 구분된다. 1
    폐문부에서 폐동맥과 폐정맥의 주행을 분리해 추적할 수 있다. 1

    4) 저선량 흉부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조영증강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2.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3.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영상의 경우 폐 및 종격동 설정 변경이 가능해야 한다. 필름 영상의 경우 폐 및 종격동 설정이 각각 있어야 한다.

    4.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평가내용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4점)
    표지(4) 일반정보 스캔영상(scanogram)이 있다. 1
    영상순서(image number, scan time 등)가 확인된다. 1
    눈금자(scaler)가 표시되어 있다. 1
    좌우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1
    장비 및 방사선피폭관리 기준(20점)
    장비기준(10) 다중검출CT(multidetector CT)검출기 채널기준 64채널 이상(16채널 이상 64채널 미만 6점) 10
    방사선 피폭관리(10) 선량보고서가 있다. 4
    120kVp 이하의 관전압(tube voltage)으로 검사된다. 2
    40-60 mAs 이하로 촬영된다. 2
    CT선량지수(CTDIvol)가 3mGy 이하다. 2
    영상정보항목(76점)
    인공물(14)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폐설정에서 호흡에 의한 움직임이 없고 영상순서의 흐트러짐이 없다. 3
    심장박동에 의하여 상행대동맥과 폐동맥의 경계가 흐려지지 않는다. 2
    심장박동에 의하여 하행대동맥과 폐정맥의 경계가 흐려지지 않는다. 2
    판독을 방해하는 선(streaking) 인공물이 없다. 선인공물이 있으나 폐실질을 침범하지 않는다. 2
    판독을 방해하는 영상잡음 (noise)이 없다. 영상잡음이 있으나 폐결절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3
    기기 자체에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 어떤 장비적 인공물도 없다. 2
    영상스캔 범위(12) 폐첨부에서 횡격막 늑골각까지 포함되었다. 폐첨부보다 적어도 한 장 이상이 더 촬영된다. 2
    횡격막 늑골각 이하 폐가 보이지 않는 사진이 최소 1장 있다. 2
    부신을 완전히 포함한다. 2
    흉벽전체를 포함한다. 횡격막 상부에서 흉벽이 피부까지 완전히 포함한다. 2
    양측 상완골두 직경의 50% 이상을 포함한다. 2
    영상에서 흉벽의 최대 좌우 폭이 차지하는 비율이 80% 이상이다. 횡격막 상부에서 몸통의 좌우 직경이 화면 직경의 80% 이상이다. 2
    과도한 검사부위 성대 상단보다 윗부분을 포함한다. -3
    신장 하단보다 아래가 포함되었다. -3
    영상 재구성 적정성(11) 연부조직 표준(standard) 알고리즘의 영상 시리즈가 있다. 4
    폐 고해상(sharp) 알고리즘의 영상 시리즈가 있다. 4
    반복적 재구성 알고리즘(iterative reconstruction algorithm)을 적용한다. 3
    절편두께 및 다평면 영상의 적정성(21)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 3㎜ 이하이다. 5
    1.5㎜ 이하의 얇은 두께의 영상을 포함한다. 5
    축상 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4
    관상 영상을 포함하고 있다. 2
    관상 영상의 절편두께 3㎜ 이하이다. 1
    관상 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1
    시상 영상을 포함하고 있다. 1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3㎜ 이하이다. 1
    시상 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1
    관상 또는 시상 영상에 인공물(step-ladder artifact 등)이 있다. -3
    해상도 및 대조도(18) 말단부위 폐혈관을 구분할 수 있다. 흉막 직하부를 제외한 폐전체의 폐혈관 경계가 분명하다. 3
    몸쪽부위 세분절 (subsegmental) 기관지를 구분할 수 있다. 몸쪽부위 세분절(subsegmental) 기관지벽이 구분된다. 3
    엽간열(엽사이틈새)이 보인다. 엽간열이 선으로 보인다. 3
    종격동(좌우 흉막강 사이에 있는 부분) 구조물이 구분된다. 종격동지방, 심장주위지방, 흉선(가슴샘) 조직이 구분된다. 3
    중심부 주요 혈관의 경계가 보인다. 주폐동맥과 대동맥의 경계가 보인다. 3
    기관과 주변 조직을 구분할 수 있다. 기관의 외벽을 주변 조직으로부터 구분할 수 있다. 3

    5) 역동적 조영증강 간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조영증강을 시행한 역동적 간 영상을 제출한다. 역동적 간 영상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 단일 시기 조영증강 영상을 제출할 수 있다.

    2.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영상의 경우 폐설정 변경이 가능해야 한다. 필름 영상의 경우 폐기저부 폐설정이 있어야 한다.

    3.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평가내용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4점)
    표지(4) 일반정보 스캔영상(scanogram)이 있다. 1
    영상순서(image number, scan time 등)가 확인된다. 1
    눈금자(scaler)가 표시되어 있다. 1
    좌우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1
    장비 및 방사선피폭관리 기준(20점)
    장비기준(10) 다중검출CT(multidetector CT)검출기 채널기준 64채널 이상(16채널 이상 64채널 미만 6점, 2채널 이상 16채널 미만 3점) 10
    방사선 피폭관리(10) 선량보고서가 있다. 5
    자동노출조사(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를 사용한다. 4
    100 kVp 이하 관전압(tube voltage)으로 검사된다. 1
    영상정보항목(76점)
    인공물(10) 고리(ring) 인공물이 없다. 3
    선속경화(beam-hardening) 인공물이 없다. 3
    호흡에 의한 인공물 또는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1
    환자가 스캔 중심부에 위치한다. 1
    양팔을 올린 상태로 검사한다. 1
    신체 장신구, 불필요한 기구, 스캔에 영향을 미치는 장치가 없다. 1
    영상 스캔 범위(11) 모든 영상이 간 전체를 포함한다. 5
    한 장 이상의 간이 포함되지 않은 폐야 영상이 있다. 3
    과도한 검사 부위 기관분지부 위쪽의 폐 영역을 포함한다. -3
    궁둥뼈결절(ischial tuberosity) 이하 5㎝ 아래쪽이 포함된 영상이 있다. -3
    복벽 전체가 포함되었으며 영상에서 복벽의 최대 좌우 폭이 차지하는 비율이 80% 이상이다. 3
    다중시기 영상구성(5) 조영전 영상, 간동맥기 영상, 간문맥기 영상, 지연기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조영제 표시(6) 조영제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 4
    조영제 총량이 기술되어 있다. 2
    영상 재구성 적정성(4) 복부 영상에 적절한 알고리즘(soft standard reconstruction kernel)을 사용한다. 2
    영상 창 조절이 가능하다. 2
    절편두께 및 다평면 영상의 적정성(15)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 1㎜ 이상 5㎜ 이하이다(5㎜ 초과 7㎜ 이하면 2점). 4
    축상 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4
    관상 또는 시상 영상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3
    관상 또는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1㎜ 이상 5㎜ 이하이다(5㎜ 초과 8㎜ 이하면 1점). 2
    관상 또는 시상 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2
    관상 또는 시상 영상에 인공물(step-ladder artifact 등)이 있다. -3
    영상 해상도 및 대조도 (25) 우간내동맥의 뚜렷함 간동맥기 영상에서 우간내동맥이 간실질 두께 50% 이상 영역에서 뚜렷하게 보인다(간실질 두께의 50% 미만 영역에서 뚜렷하게 보이면 1점). 4
    적어도 한 시기의 조영증강 영상에서 복강동맥, 위십이지장 동맥, 위창자간막동맥, 신장동맥이 뚜렷하게 보인다. 3
    적어도 한 시기의 조영증강 영상에서 주간문맥이 주위 장기, 구조와 명확하게 구분된다. 3
    간 문맥기 영상 또는 단일시기 조영증강 영상에서 간문맥이 피막하 2㎝영역에서 구분된다. 3
    간 문맥기 영상 또는 단일시기 조영증강 영상에서 췌장 전체가 보이며 그 경계를 그릴 수 있다. 3
    적어도 한 시기의 영상에서 창자간막(창자사이막) 혈관을 창자벽과 선명하게 구분할 수 있다. 3
    적어도 한 시기의 영상에서 양측 간내담도 첫 번째 분지를 구분할 수 있다. 3
    적어도 한 시기의 영상에서 총담관을 구분할 수 있다. 3

    6) 비조영증강 복부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요로 결석을 평가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시행한 비조영증강 영상을 제출한다. 요로 결석 평가를 위한 검사를 따로 시행하지 않는 경우 복부와 골반을 포함하는 비조영증강 영상을 제출할 수 있다.

    2.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3.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영상의 경우 폐설정 변경이 가능해야 한다. 필름 영상의 경우 폐기저부 폐설정이 있어야 한다.

    4.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평가내용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4점)
    표지(4) 일반정보 스캔영상(scanogram)이 있다. 1
    영상순서(image number, scan time 등)가 확인된다. 1
    눈금자(scaler)가 표시되어 있다. 1
    좌우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1
    장비 및 방사선피폭관리 기준(20점)
    장비기준(10) 다중검출CT(multidetector CT)검출기 채널기준 16채널 이상(2채널 이상 16채널 미만 5점) 10
    방사선 피폭관리(10) 선량보고서가 있다. 6
    자동노출조사(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를 사용한다. 2
    100 kVp 이하 관전압(tube voltage)으로 검사된다. 2
    영상정보항목(76점)
    인공물(20) 고리(ring) 인공물이 없다. 5
    선속경화(beam-hardening) 인공물이 없다(인공물이 있으나 영상판독에 지장이 없으면 2점). 5
    호흡에 의한 인공물 혹은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3
    환자가 스캔 중심부에 위치한다. 2
    양팔을 올린 상태로 검사한다. 3
    신체 장신구, 불필요한 기구, 스캔에 영향을 미치는 장치가 없다. 2
    영상 스캔 범위(10) 신장, 요로, 방광 전체를 포함한다. 5
    복벽 전체가 포함되었으며 영상에서 복벽의 최대 좌우 폭이 차지하는 비율이 80% 이상이다. 5
    과도한 검사 부위 기관분지부 위쪽의 폐 영역을 포함한다. -3
    궁둥뼈결절(ischial tuberosity) 이하 5㎝ 아래쪽이 포함된 영상이 있다. -3
    영상재구성 적정성(6) 복부 영상에 적절한 알고리즘(soft standard reconstruction kernel)을 사용한다. 3
    영상 창 조절이 가능하다. 3
    절편두께의 적정성 (20)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 1㎜ 이상 5㎜ 이하이다(5㎜ 초과 7㎜ 이하면 2점). 4
    축상 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4
    관상 혹은 시상 영상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5
    관상 혹은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1㎜ 이상 5㎜ 이하이다(5㎜ 초과 8㎜ 이하면 1점) 3
    관상 혹은 시상 영상의 절편간격 없다. 4
    관상 혹은 시상 영상에 인공물(step-ladder artifact 등)이 있다. -3
    영상 해상도 및 대조도 (20) 방광이 꽉 찬 상태로 검사한다. 4
    양쪽 신우와 근위부 요관이 뚜렷하게 보인다(신우의 경계만 불분명하거나, 근위부 요관 길이의 절반 이하에서 뚜렷하게 보이지 않으면 2점). 4
    신장동(콩팥골, renal sinus)에서 신우와 혈관을 구별하여 추적할 수 있다(경계가 구별되지 않는 부위가 절반 이하면 2점). 4
    양쪽 원위부 요관과 요관ㆍ방광 접합부가 뚜렷하게 구별된다(원위부 요관 길이의 절반 이하가 구분되지 않거나, 요관ㆍ방광 접합부를 구별할 수 없으면 2점). 4
    방광과 자궁ㆍ질(여성), 방광과 전립선ㆍ정낭(남성)이 구별된다(두 장기간에 음영차이는 구별할 수 있지만, 경계가 불분명하면 2점). 4

    7) 허리뼈(요추)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추간판을 위주로 검사한 영상을 제출한다.

    2. 조영증강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3. 평가 기관에서 지정한 특정 시점의 영상 중 가장 잘 촬영된 영상을 제출한다.

    4.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영상의 경우 뼈 설정 및 연부조직 설정 변경이 가능해야 한다. 필름 영상의 경우 뼈 설정 및 연부조직 설정이 각각 있어야 한다.

    5. 일반검사 표지에 환자성명, 환자번호, 성별, 나이, 촬영날짜 및 촬영기관이 표시된 영상을 제출한다.

    항목 평가내용 점수
    검사표지 및 일반정보 항목 (4점)
    표지(4) 일반정보 스캔영상(scanogram)이 있다. 1
    영상순서(image number, scan time 등)가 확인된다. 1
    눈금자(scaler)가 표시되어 있다. 1
    좌우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1
    장비 및 방사선피폭관리 기준(20점)
    장비기준(10) 다중검출CT(multidetector CT)검출기 채널기준 16채널 이상(2채널 이상, 16채널 미만 5점) 10
    방사선 피폭관리(10) 선량보고서가 있다. 5
    120kVp 이하의 관전압(tube voltage)으로 검사된다. 5
    영상정보항목(76점)
    인공물 (10) 호흡에 의한 인공물 혹은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4
    고리(ring) 인공물이 없다. 3
    그 외 인공물이 없다. 3
    영상 스캔 범위(30) 5개 이상의 추간판을 포함한다(3개까지는 3점, 2개 이하는 0점). 6
    각각의 추간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영상을 얻거나 재구성한다(4개 이상은 6점, 3개까지는 3점). 6
    각각의 추간판 후면윤곽을 충분히 포함한다(후면윤곽을 충분히 포함하지 않은 추간판이 1개 있으면 3점, 2개 이상 있으면 0점). 6
    3개 이상의 추간판에 대하여 위아래의 종판이 충분히 포함된다(2개까지는 3점, 1개 이하는 0점). 6
    각각의 횡단면 영상이 허리뼈 어느 부위인지 알 수 있다(스캔영상에서 일부 부위표시가 되어있지 않거나 각 해당 영상에 글자로만 표시된 경우 3점). 6
    영상 재구성 적정성(4) 연부조직 표준(standard) 알고리즘의 영상 시리즈가 있다. 2
    뼈 고해상(sharp) 알고리즘의 영상 시리즈가 있다. 2
    절편두께 및 다평면 영상의 적정성(12) 절편두께가 3㎜ 이하이다. 4
    추간판 부위에서 절편간격이 없다. 4
    시상재구성 영상 시리즈가 있다. 4
    해상도 및 대조도(20) 추간판 바깥쪽을 따라 윤곽을 그릴 수 있다(윤곽이 그려지지 않는 추간판이 1개 있으면 3점, 2개 이상 있으면 0점). 5
    추간판과 경막강을 구분할 수 있다(경막강과 구분되지 않는 추간판이 1개 있으면 3점, 2개 이상 있으면 0점). 5
    허리뼈 4ㆍ5번에서 황색인대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측정이 되는 부위와 측정이 되지 않는 부위가 섞여 있으면 2점). 5
    양측 돌기관절공간이 보인다(1개의 추간판 위치에서 한쪽의 돌기관절공간만 안 보이면 2점, 양쪽 다 안 보이거나 2개 이상의 추간판 위치에서 안 보이면 0점). 5